비트코인 개발자 문서링크 : https://bitcoin.org/en/developer-documentation비트코인 org에서 제공하는 문서비트코인 에지 워크숍 튜토리얼링크 : https://bitcoinedge.org/tutorialsDev++2017에서 발표된 튜토리얼 모음비트코인 완전 정복(Mastering Bitcoin) 2nd Edition링크: https://github.com/bitcoinbook/bitcoinbook Mastering Bitcoin 2판 영문 책
블록체인에 사용되는 해시함수는 무엇이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있습니다.그 네번째 마지막 글로 해시 함수의 특성 3 - 퍼즐 게임을 만들 수 있다입니다. 이전 글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블록체인]해시함수 이해1 - 해시함수란?[블록체인] 해시함수 이해 2 - 특성 1 - 충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블록체인] 해시함수 이해 3 - 특성 2 - 원본 내용을 알 수 없다 이글에서 말하는 해시 퍼즐 게임이 비트코인 채굴자(마이너)들이 푸는 문제와 같은 종류입니다.흔히 암호를 푼다고 하는데요. 알고보면 암호를 푼다기 보다는 랜덤하게 값을 입력해서 원하는 해시가 나오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겁니다.모래밭에서 금조각 찾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금속 탐지기나 심지어는 사금 채취하듯 물에..
블록체인에 사용되는 해시함수는 무엇이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있습니다.그 세번째 글로 해시 함수의 특성 2 - 원본 내용을 알 수 없다입니다.이전 글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블록체인]해시함수 이해1 - 해시함수란?[블록체인] 해시함수 이해 2 - 특성 1 - 충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첫번째 글에서 해시함수란어떤 길이의 데이터를 입력해도 정해진 길이의 결과를 주는 함수라고 했습니다.Designed by Freepik 이번 해시함수의 특징은 이 해시결과를 보고서는 원본 메시지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바로 앞의 글에서 해시 함수는 입력 데이터가 다르면 해시 결과가 다르다라고 말했습니다.같은 해시결과를 만드는 값은 반드시 존재하지만 실제로 그 값을 찾..
암호화폐 기술에 대한 내용에 항상 등장하는 것 중 하나가 해시함수(Hash Function)죠.해시함수는 무엇일까요?그 두번째 글로 "특성 1 : 충돌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입니다.영어로는 Collision-registance라고 하죠. 충돌에 저항력이 있다.이전 글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블록체인] 해시함수 이해 1 - 해시함수란?여기서 충돌(collision)은 해시함수의 결과 값이 동일하다는 말입니다. 이전 해시함수란? 에서 해시 함수는 어떤 길이의 데이터를 입력해도 정해진 길이의 결과를 주는 함수라고 간단히 이야기했습니다.SHA256 해시는 결과가 256 bits입니다.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은 무제한이고 결과는 256bits로 한정되어 있다는 말이죠.그렇다면 2^256 + 1개의..
블록체인, 암호화폐 기술에 대한 내용에 항상 등장하는 것 중 하나가 해시함수(Hash Function)죠.해시함수는 무엇일까요?정말 쉽고 간략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해시함수를 아주 간단히 말하면,어떤 길이의 데이터를 입력해도 정해진 길이의 결과를 주는 함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말은 정말, 정말 간단하죠? 단지 확~~ 마음에 와 닫지 않을 뿐. 아래 그림은 SHA256 해시 함수를 그림으로 간략히 표시한 겁니다. 말로는 잘 이해가 안될 수도 있으니 실제 SHA256 해시의 결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SHA 256은 256bits의 결과를 주는 해시함수인데요. 파이썬 hashlib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사용했습니다.>>> t1 = b'Hello, SHA 256'>>> sha256(t1).hexdigest()결..
스팀잇에 있는 스팀 거래소를 이용해봤습니다.글을 작성하고 받은 스팀달러를 스팀파워로 변환하기위해서 사용하게 된 건데요.거래소를 이용해서 스팀달러를 파워로 전환하는 방법은 이전 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스팀잇] - 스팀달러를 스팀파워로 전환하기(거래소 이용)스팀달러에서 스팀파워로 바로 변환이 안되어서 스팀달러로 스팀을 구매해야합니다.주식거래와 같이 매도자와 매수자를 각각 원하는 가격에 맞게 연결시켜주는 시스템입니다.잘만 이용하면 단타도 가능할 것 같네요. ^^아래 그림이 전체 거래소 풍경입니다. 우선 거래소 진입은 스팀잇의 오른쪽 위에 있는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거래소 메뉴 보이시죠?STEEM 구매스팀 구매를 해 보겠습니다. 메뉴를 눌러 거래소에 진입을 합니다.매도 주문 가격 확인화면 아래쪽에 매수주..
스팀에 글을 쓰고 첫 페이아웃을 받았습니다.Claim rewards: 2.452 SBD and 1.001 STEEM POWER보상은 스팀달러와 스팀파워로 받았는데요.스팀달러를 스팀파워로 전환하는 방법을 블로그로 옮겨봤습니다.바로 전환을 할 수 없어 거래소를 이용합니다.자연히 거래소 이용방법도 간단히 설명을 하게 되었네요.그동안 스팀백서도 읽어보고 해서 스팀달러와 스팀파워를 구분할 줄 알게 되었어요.스팀달러보다는 스팀파워가 더 중요하겠다고 생각을 했죠. 엇... 그런데 스팀달러를 어떻게 스팀파워로 전환을 하죠? Designed by Freepik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스팀달러에서 스팀파워로 바로 전환하는 메뉴가 있다고 하던데요.그런데 그사이 메뉴가 변경된 탓인지 찾을 수가 없네요.대신 스팀에서는 바로 스팀파..